가성비 좋은 임플란트를 찾을 수 있을까?
본문

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인해 치아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국민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치과 치료 중에는 많은 보험 진료가 있지만, 여전히 치과 치료 진료비는 비싸다는 인식이 남아 있다. 그중 임플란트 수술은 치과 치료 중 고비용 진료에 속한다.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이 저렴한 임플란트를 찾는 것 같다.
임플란트 치료비 이야기하면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가 왜 치과마다 차이가 나느냐 하는 것이다.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를 되묻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충치 치료 중 금으로 치아 일부분을 때우는 치료를 생각해 보자. 금값이야 종류에 따라 거의 비슷하고, 기공비용뿐만 아니라 치료자의 실력에도 큰 차이가 나지 않고, 치료의 예후도 거의 비슷하다. 그래도 지역마다 치과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다. 오히려 치료비가 거의 같다면 담합으로 공정위의 조사를 받을 수도 있다.
예전에 임플란트는 매우 비싸서, 보통 500만 원도 했었다. 그랬던 것이 300만 원이 되었다가 요즘은 부위에 따라서 100~200만 원 정도 하는 듯하다. 심지어 60~80만 원 하는 곳이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그렇다면 과연 임플란트의 치료비가 무조건 싼 것이 다 좋을까?
당연히 그렇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당연히 그렇지 않다. 시술자의 실력이 같다고 해도 임플란트는 재료비 자체도 제품마다 몇 배의 차이가 난다. 단순한 재료비 자체뿐만 아니라 보다 나은 예후를 위한 중간과정이나 부과되는 재료비 등도 천차만별이다. 그런데 치료비 자체를 싼 곳만 찾는다면 뭔가 하나는 포기해야 하지 않을까?
임플란트를 자동차와 비교하면 이해하기가 쉽다. 3,000만 원의 중형 세단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차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런데 그 반의 비용으로 중형 세단과 같은 편안함과 안전성을 갖춘 자동차를 사고자 한다면 좀 무리는 아닐까? 겉모습은 비슷할지 모르지만, 편안함이나 안전성은 포기해야 할 것이다.

김지혜 원장은 전북대학교 치과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했으며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병원에서 보철과 전임의를 역임했다.
현재 중앙대학교 의료원 외래교수, 대한치과보철학회 정회원,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정회원이며 오스템 임플란트 패컬티,오스템 임플란트 임상지도교수, 대한치과보철학회 인정의, 대한치과보철학회 지도의로 활동하고 있다